본문 바로가기
고객을 위한 정보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알아보기

by General Creator 2024. 4. 8.
반응형

해외여행이 가속화되면서 여러 카드사들이 앞다투어 해외에서 사용하기 좋은 카드들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이번에 소개할 카드는 무엇일까요?

 

kb국민-위시-트래블
kb국민-위시-트래블

 

바로 KB국민카드의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입니다.

 

살펴보니 정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카드로 보입니다. 참고로 마스터카드 브랜드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해외사용 혜택

 

우선 해외에서 결제할 때 수수료가 면제되는데요. 해외 가맹점에서 결제금액의 1.25%가 수수료로 발생하지만 이것이 면제됩니다.

 

전월실적과 무관하게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됩니다.

 

수수료 외로 실제 결제금액이 환전이 될 때 환율우대가 100% 보장됩니다. 단, 이는 미국 달러 기준이라고 합니다.

 

만약 아이슬란드에서 크로나 화폐로 결제하면 국제브랜드사가 정한 환율에 의해 크로나를 미국 달러로 환산하고, 환산된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여 청구되게 됩니다.

 

여기서 달러가 원화로 환전될 때 환율우대가 100% 된다는 것이죠.

 

전월실적이 30만원 이상이라면 연 2회 한도로 전 세계 공항의 라운지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 사용하려면 ‘더라운지’ 어플을 다운받아 가입하고 위시 트래블 카드를 등록한 뒤 라운지 이용권을 발급받아야 한다네요.

 

똑같이 전월실적 30만원 이상이면 KB 페이로 결제시, 온라인 항공과 온라인 면세점에서 5% 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 할인한도는 월 2만원에 연 8만원입니다.

 

kb국민-위시-트래블-면세점-할인
kb국민-위시-트래블-면세점-할인

 

전월실적 30만원에 KB 페이로 결제시 여행자보험도 10% 할인을 받습니다. 해외여행을 간다면 여행자보험은 필수죠? 할인한도는 월 5천원에 연 2만원입니다.

 

다음은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국내사용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국내사용 혜택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국내사용 혜택은 전월실적에 따라 할인한도가 다릅니다.

 

전월실적 30만원은 1만원, 전월실적 70만원은 2만원, 전월실적 120만원은 3만원의 할인한도를 부여합니다.

 

또 KB 페이로 결제해야 하는 조건까지 충족한다면 온라인 쇼핑, 온라인 패션, 커피, 편의점, 영화관에서 결제하는 금액의 10%가 할인됩니다.

 

구체적인 할인 가맹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kb국민-위시-트래블-할인-가맹점
kb국민-위시-트래블-할인-가맹점

 

전월실적 30만원이라면 철도와 고속버스 결제금액의 1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철도는 일반철도와 KTX, SRT를 말합니다. 할인한도는 월 1만원에 연 6만원입니다.

 

이어서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연회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연회비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는 일반형 카드와 모바일 카드로 나뉘는데요.

 

일반형 카드는 연회비가 2만5천원이고 모바일 카드는 1만9천원입니다.

 

모바일 카드가 좀 더 저렴하고 간편하겠지만, 국내와 해외 오프라인 가맹점 일부에서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지금까지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kb국민-위시-트래블-신용카드
kb국민-위시-트래블-신용카드

 

KB국민 위시 트래블 신용카드 외로도 할인을 가득 해주는 카드 알아보고 싶지 않으세요?

 

요즘 할인 해주는 카드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에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

 

할인 해주는 카드 알아보기

고물가로 인해 돈 쓰기가 망설여지는 지금,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소비를 하면서 조금이라도 혜택을 챙기려고 합니다. 그래서 현금을 쓰기 보다는 조건이 좋은 카드를 찾아서 많이 쓰는데요.

generalcreator87.tistory.com

 

반응형